강아지 눈 충혈 한쪽 핏줄 염증 이유


오늘은 강아지 눈 충혈과 한쪽눈 핏줄 염증 이유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강아지 눈 충혈과 안구 질환에 대해서는 원인이 굉장히 많습니다.

물리적으로 인하여 염증이 생긴 것인지, 아니면 알레르기로 인하여 염증이 생긴 것인지, 그게 아니면 자외선 문제로 염증이 생긴 것인지 등등 다양한 이유가 있는데요.

가장 흔하게 생기는 원인은 물리적으로 생기는 부분이 가장 많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 오늘 자세히 설명드리오니 잘 참고하시어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강아지 눈 충혈 염증 이유

강아지 눈이 어느 날 갑자기 충혈이 되면서 염증이 생기게 된다면 물리적으로 생기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입니다. 필자 같은 경우에는 강아지 미용실에 맡기고 난 후 미용을 끝난 강아지의 상태가 기가 죽어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보통 겁이 많은 강아지인 경우에는 미용 시에 이리저리 날뛰고 그러기에, 미용하는 과정에서 눈가에 미용을 하는 과정에서 다치는 경우도 흔하게 나타나곤 합니다.

또한 미용을 안 하자니 털이 눈을 찔러서 결막염이나 염증을 일으키게 만들어 강아지의 안구 건강을 악화시키게 만드는데요.

가장 좋은 것은 강아지가 미용실과 친해지게 만드는 방법입니다. 그래서 보통은 어렸을 때부터 한 달 주기로 미용실을 방문케 하여 강아지가 미용실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훈련이 필요하며,

미용실을 가격보고 이리저리 옮겨 다니지 말고, 될 수 있으면 한 곳에 정착하여 그곳에서만 미용을 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폐업할 확률도 있사오니 3군데 정도는 돌아가면서 미용을 시키는 것이 가장 좋겠습니다.

이렇게 어느 정도 훈련을 하게 되면 미용실에서 난리 쳐서 눈 쪽이 다치는 일도 없으니 참으로 편하겠지요. 일단 물리적인 요인은 간략하게 최종 정리를 하자면, 털로 인하여 생기는 것과 미용 시에 부상으로 인하여 생기는 것이 전부입니다.

강아지 눈 핏줄 염증 이유

강아지 눈이 어느 날 갑자기 충혈이 발생하면서 핏줄 부분이 붉어지고 염증이 생기는 증상에 대한 또 다른 원인은 자외선입니다.

갑자기 자외선? 이렇게 생각하실 수도 있을 실 텐데요. 평상시 산책을 해가 떠있는 시간대에 산책을 시키는 경우에는 강아지 안구에 굉장히 안 좋은 영향을 주게 됩니다.

사람이야 이족보행이라서 윗부분만 자외선을 막아주면, 땅으로부터 튕겨져 나오는 자외선에 노출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강아지 같은 경우에는 사족보행이므로, 땅과의 간격이 가까워서, 땅으로 튀어나오는 자외선을 가장 직격적으로 맞아버리게 되지요.

그래서 강아지가 나이가 들면 녹내장, 결막염 같은 질환이 생기는 원인이, 바로 이러한 원인으로 발생되는 것을 알아두셨으면 합니다.

이러한 원인을 미리 애당초 예방하려면, 햇빛 노출이 심한 2시부터 5시 사이에 산책을 지양하시는 것이 좋으며, 그냥 이른 아침이나 늦은 저녁에 산책시키는 것이 가장 좋다고 보입니다.

어쩔 수 없이 외출을 나가셔야 하는 분들은 강아지 유모차들도 요즘에 잘 나오고 있사오니 적절히 태워서 데리고 다니시면 안구 질환에 대한 걱정은 사라지실 테오니 이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강아지 알레르기로 인한 염증

세 번째는 강아지 알레르기로 인한 염증 증상입니다. 거의 드물기는 하지만, 이러한 알레르기 염증은 강아지를 제대로 씻기지 않거나, 털관리가 안 되는 경우에 생기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박테리아 및 진드기 그리고 세균성들이 풀이나 길거리에 많이 노출되어 있습니다. 강아지는 이것저것 냄새도 맡고 맛도 보기에 이 상태에서 세균 증식을 이루어 안구 부분에 까지 영향을 주기 때문에 조심하셔야 합니다.

특히 강아지 산책 시에는 강아지 전용 입마개를 착용하고 산책하는 것이 좋으며, 웬만하면 풀이 별로 없는 널찍한 공원에서 산책시키는 것이 가장 좋으니, 이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강아지 눈 질환 마치며

오늘은 가볍게 강아지 눈 질환이 어떻게 생기는지에 대한 본질적인 원인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았습니다. 다양한 원인들이 있기에 쓰느라 조금 고생했네요.

사실 이 부분은 해당 견종에 대한 경험이 풍부한 수의사분에게 찾아가시면 금방 원인을 파악하고 곧바로 예방 수칙방법을 알려주오나,

해당 견종에 대해서 잘 모르는 수의사인 경우에는 다른 방향으로 접근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필자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여러 병원을 돌아다니시면서, 해당 견종에 경험이 많은 전문의를 찾아 놓으시는 것이 가장 좋은 대비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동물 병원 세 군데만 찾아놓아도, 강아지 진료값이랑 치료값 그리고 조금씩 빠져나가는 작은 비용들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사오니 이 부분도 잘 참고하시어 도움 되시기 바라겠습니다.